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나눔공부방- 우리같이공부해요404

컴퓨터 활용 TIP(팁)- 키보드의 윈도우마크키를 활용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번에는 컴퓨터를 웹서핑이나 기타 작업시 잘 사용 안하게 되는 윈도우마크키를 활용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키보드의 좌측하단에 존재하는 윈도우마크 키는 잘 활용하면 훨씬더 효율적으로 작업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에 보이는 키죠 이 키와 다른 단축키와 조합해서 사용하면 정말 효률적인 작업을 할수 있죠.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웹서핑을 위해서 위 그림처럼 여러개의 창을 띄워놓고 서핑시 키보드의 윈도우키와 TAB키를 누르면 아래 그림과 같이 어떤창을 띄웠는지 한눈에 볼수 있게 해줍니다. 위 그림처럼 화면에 모두 보여지게 되는데 여기서 윈도우키와 TAB키를 한번더 누르게 되면 원래대로 복귀합니다. 여러창이 띄워진 상태에서 활성할 창을 선택하고 원도우키와 HOME키를 누르면 선택한 창만 활성되고 나머.. 2023. 12. 29.
컴퓨터 활용 TIP(팁)- 컴퓨터 사용흔적및 최근사용한 파일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번에는 보통 컴퓨터 사용을 하다가 탐색기를 실행해 보면 최근에 사용한 파일 목록을 볼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및 사생활 보호를 위해 최근에 상용한 파일목록을 삭제하려고 하면 일일이 삭제하는 것이 많이 번거롭죠 그래서 설정을 통해서 일괄삭제 하거나 파일목록을 표시를 안타나나게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위 그림처럼 윈도우탐색기를 실행해 보면 하단에 최근에 사용한 파일이 표시가 됩니다. 그러면 내컴퓨터가 아니고 여러명이 사용할 경우 상대방이 내가 사용한 흔적을 알수 있겠죠. 일일이 컴퓨터를 사용하고 사용흔적을 지우면 되지만 많이 번거롭습니다. 윈도우 탐색기를 실행한 상태에서 상단의 메뉴에 보면 보기(A)탭이 있습니다. 이부분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나타나는 리본메뉴에서 제일 우측의 옵션(B)를.. 2023. 12. 27.
오토캐드 TIP(팁)-오토캐드의 배열(ARRAY)의 종류에 따른 실습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번에는 오토캐드에서 이전에 포스팅 했던 배열에 대해 알아보고 실습에 적용해 보겠습니다. 우선 배열의 종류에는 행열배열(R)과 원형배열(P)과 경로배열이 있습니다. 이번 실습에서는 행열배열과 원형배열에 대해서 살펴 보겠습니다. 먼저 행열배열은 몇행 몇열로 개체가 생성될지 그리고 그 간격은 얼마로 결정 할지를 지정하면 그에 맞게 개체가 생성 됩니다. 위 그림은 행열배열의 예시 입니다. 명령어 입력란에 -ARRAY입력하고 엔터치고 R입력하고 엔터치고 행열배열에서 3행5열을 적용하고 행간격은 15와 열간격은 25를 적용한 것입니다. 보통 구번전방식으로 배열명령을 실행할 경우 명령어 입력란에 ARRAYCLASSIC를 입력 하시면 됩니다. 위 그림은 ARRAYCLASSIC입력하고 구버전 캐드 처럼 대화창이 떠서 .. 2023. 12. 22.
인벤터 TIP(팁)-인벤터에서 모서리처리하는 모따기(CHAMFER),모깍기(FILLET)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인벤터에서 완성된 모델링의 모서리를 처리하는 모따기,모깍기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보통 오토캐드에서는 FILLET,CHAMFER 라고 하죠. FILLET는 모서리를 지정된 반지름 값에 의해 둥글게 처리하는 방식이고 CHAMFER는 모서리를 지정된 거리 값에 의해 각지게 깍는 방식입니다.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생성된 솔리드 물체에 상단 리본메뉴의 모깍기(A)를 클릭하면 창이 뜨는데(B) 이 창에서 우측에 보시면 선택모드가 있습니다. 여기서 모서리는 모델링된 물체의 모서리를 클릭(C)하고 반지름 값을 입력하고 확인하시면 둥글게 처리 되는 방식입니다. 즉 선택한 모서리만 둥글게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한개 이상 선택할수 있습니다. 선택모드에서 두번째 루프 방식은 해당 모서리를 클릭하면 그 모서리를 포.. 2023. 12. 20.
인벤터 TIP(팁)-인벤터의 파트모델링실습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번에는 지난번에 포스팅한 오토캐드3D에서 실습했던 솔리드모델링 데이터를 인벤터를 통해서 모델링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오토캐드3D로 솔리드 모델링을 하기 위해서는 도면을 작도해야 합니다. 인벤터에서도 마찬가지 인데 이번에는 인벤터에서 도면을 작도해서 하는 방법이 아닌 오토캐드에서 그린 도면을 불러와서 작도하는 방법 입니다. 먼저 인벤터를 실행합니다. 인벤터 실행한 다음 2D스케치 모드로 들어갑니다. 그러면 리본메뉴가 2D를 작도할수 있는 메뉴로 변경되는데 이때 우측에 보시면 삽입탭에 오토캐드아이콘(A)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오토캐드2D작업한 파일을 선택해서 불러옵니다. 불러올때 조건은 오토캐드 프로그램 버전은 인벤터프로그램 버전보다 이하 버전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2023. 12. 19.
오토캐드 TIP(팁)- 오토캐드의 그리기명령에 대한 작도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오토캐드2D명령의 기초인 그리기명령을 실습을 통해 작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인 그리기 명령으로는 LINE, CIRCLE,ARC,ELLIPSE,POLYGON, DONUT.. 등이 있습니다. 하나하나 작도법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먼저 LINE의 경우는 명령을 주고 엔터를 치면 옵션에 닫기와 명령취소가 있는데 이는 명령취소는 LINE명령 실행중 한단계씩 취소한다는 의미이며 닫기(B)는 시작점을 기준으로 닫히면서(C) 명령이 끝난다는 의미 입니다. 다음은 원 작도법인데 원 같은경우는 중심,반지름과 중심,지름과 2점,3점 TTR(접선,접선,반지름)의 다양한 방식이 있습니다. 위 그림은 circle명령 입력 후 엔터치고 원 그리기 옵션중 2점을 선택하고 (A)점 찍고 (B)점 찍은 결과.. 2023. 12. 14.
오토캐드3D TIP(팁)- 오토캐드3D의 솔리드모델링 기본실습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오토캐드3D실습을 통해 기초 솔리드 모델링을 생성하는 과정을 알아 보겠습니다. 솔리드 모델링이란 오토캐드3차원 모델링 방식중에 하나이며 정점,선, 면 및 질량을 표현한 형상 모델로서, 이것을 작성하는 것을 솔리드 모델링이라고 합니다. 솔리드 모델은 입체 형상을 표현하는 모든 요소를 갖추고 있어서 중량이나 무게중심 등의 해석도 가능합니다. 솔리드 모델링은 내부가 채워져 있으므로 서피스 모델과 같이 따로 면처리가 필요없고 실제 현실에서 물체를 만드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모델링이 이루어 집니다. 실습을 해가면서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위 그림과 같은 형상을 한번 살펴보면 (A)부분의 돌출과 (B)부분 그리고 (C)부분의 돌출과 (D)부분의 돌출의 합으로 분석할수 있습니다. 일단 그려진 도면을 여러개 .. 2023. 12. 13.
오토캐드 TIP(팁)- 오토캐드의 기초인 좌표계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번에는 오토캐드2D기초인 좌표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절대좌표,상대좌표,상대극좌표 이렇게 구분되는데 하나 하나 의미를 살표보겠습니다. 먼저 절대좌표계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위 그림에서 보듯이 절대좌표란 입력란에 기본공식이 X,Y형태로 입력이 됩니다. 즉 위 그림의 (A)를 예를 들면 오토캐드에서 명령어 입력란에 LINE명령을 주고 엔터를 치면 첫점을 찍으라고 나오는데 여기서 50,50 이렇게 입력한다는 의미 입니다. 그리고 가로70,세로40 인 직사각형이므로 시작점 50,50입력 후 엔터 그리고 다음점은 길이가 70이므로 X값에 70을 더해 120,50입력 후 엔터 다음 120,90입력 후 엔터 다음 50,90입력 후 엔터 다음 50,50 입력 후 엔터 엔터 하시면 위 그림과 같은 결과.. 2023. 12. 7.
오토캐드3D TIP(팁)- 기본 수납장 실습에 의한 3DFACE면처리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오토캐드3D에서 기본 박스로 구성된 수납장형태를 모델링 하면서 가장 면처리의 기본인 3DFACE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면처리를 하기 때문에 당연히 서피스 모델링입니다. 위 그림과 같이 단순히 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형태입니다. 일단 판재의 두께는 모두 30mm로 하겠습니다. 먼저 좌측의 그림에서 보듯이 REC명령에 의해 위에서 보는 형태를 작도합니다. 즉 가로1000*세로350짜리 사각형과 가로30*세로400짜리 사각형 두개를 생성합니다. 그리고 투시형태로 보기위해 명령어 입력한에 VPOINT입력후 엔터를 치면 위와 같은 창이 뜨는데 여기서 315도와 45도를 지정합니다. 투시형태로 표현되면 여기서 CHPROP명령에 의해 두께를 부여 하는데 (A)사각형은 두께를 30 (B)사각형은 두께를 19.. 2023. 12. 5.
오토캐드3D TIP(팁)- 오토캐드3D의 실습에 의한 UCS개념익히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오토캐드3D에서 실습을 통해 UCS개념을 알아 보겠습니다. 우유곽형태의 실습예제를 통해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위 그림은 우유곽형태인 모델링에 치수와 해치 그리고 문자가 기입이 되어 있습니다. 물론3D의 기본입니다. 그래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어렵게 느껴질수 있을것입니다. 사용되는 명령어는 UCS,PLAN,CHPROP, VPOINT,MTEXT,BHATCH,DIMLINEAR 입니다. 먼저 사각형그리는 명령 REC에 의해 가로,세로 길이가 100인 정사각형을 작도합니다.우유곽형태의 제일 아래 바닥이죠. 바닥을 그린 사각형에 두께를 주기위해 CHPROP명령을 주고 사각형을 선택 하고 T입력하고 값을 100을 줍니다. 그러면 위 그림과 같이 정육면체가 생성 됩니다. UCS측면을 잡기위해 명령어 입력란에 .. 2023. 12. 4.
오토캐드3D TIP(팁)- 생성된 솔리드 또는 서피스모델의 음영을 확인하는 SHADE에 대해 알아봅니다. 이번에는 오토캐드3D에서 모델링 후 음영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보통 캐드에서는 기본적으로 와이어 프레임 모델방식으로 모델링이 진행 됩니다. 솔리드 모델같은 경우는 내부가 채워져있는 모델링방식 이므로 모든 면이 자동으로 닫혀있는 형태지만 서피스 모델링 같은 경우는 반드시 면처리를 해야되죠. 따라서 어느 부분이 면처리가 되어 있는지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 음영 확인이 필요합니다. 위 그림에서 보시면 (A)->(B)과정은 솔리드 모델링입니다. 즉 EXTRUDE 명령에 의해 높이값이 주어져 생성된 물체입니다. EXTRUDE명령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은 이전에 포스팅 참고해 주시면 됩니다. (C)->(D)과정은 서피스모델링 입니다. 즉 CHPROP명령에 의해 두께값이 주어져 생성된 물체 입니다.. 2023. 12. 1.
기계제도 TIP(팁)- 도면의 형식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도면의 양식또는 형식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도면의 크기및 형식은 기계제도에 사용되는 도면은 기계제도규칙(KS B 0001)과 도면의 크기및 양식(KS A 0106)에서 정한 A열 사이즈를 사용합니다. 도면에는 반드시 도면의 윤곽선을 긋고, 표제란 및 중심마크를 마련해야 합니다. 도면의 크기는 폭과 길이로 나타내며 그 비는 1:√2가 되고 A0~A4크기를 사용 합니다. 용지 크기는 A4사이즈는 210*297 A3사이즈는 297*420 A2사이즈는 420*594 A1사이즈는 594*841 A0사이즈는 841*1189 입니다. 단위는 mm입니다. 다음으로 도면의 윤곽선은 드로잉 영역을 명확히 하고 용지의 가장자리에서 생기는 손상으로 도면에 담겨져 있는 내용이 파손되지 않도록 도면에 그리는.. 2023. 11. 29.
기계제도 TIP(팁)- 기계제도의 선의종류및 용도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기계제도에 사용되는 선의 종류및 용도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용도에 맞게 선을 사용하는거 매우 중요합니다. 일단 선(Line)은 굵기에 따라 형태에 따라 용도에 따라 구분할수 있습니다. 굵기에 따라 구분하면 가는선,굵은선,아주굵은선 이렇게 구분 할수 있는데 그 비율은 1:2:4입니다. 기계제도에서 선은 0.18,0.25,0.35, 0.7,1 등 6가지 기준값중에서 도면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모양(형태)에 따라 선을 구분하면 실선,파선,쇄선이렇게 구분되고 쇄선은 또 1점쇄선과 2점쇄선으로 구분됩니다. 실선(continuous line)​은 끊어짐없이 연속되는 선을 의미 하며 파선(dashed line)은 짧은선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본되는 선을 말합니다.. 2023. 11. 28.
기계제도 TIP(팁)- 기계제도의 척도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오늘은 기계제도의 척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도면을 작도하다 보면 실제보다 크게 그리는 경우, 실제크기로 그리는 경우, 실제보다 작게 그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척도라 합니다.즉 도면에서의 크기와 실제크기와의 비를 척도(Scale)라 합니다. 종류에는 세가지가 있는데 축척(contraction scale)은 실물보다 작게 축소해서 그리는 것이며 현척(full scale)은 실물과 같은 크기로 그리는 것이며 배척(enlarged scale)은 실물보다 크게 그리는 것입니다. 축척과 배척비는 임의로 하는것이 아니고 다음과 같은 기준값을 따릅니다. ​ 축척:1:2 1:5 1:10 1:20 1:50 1:100 1:150 배척: 2:1, 5:1, 10:1, 20:1, 50:1 또한 척도의 표시법은 A:B의 형.. 2023. 11. 27.
엑셀 TIP(팁)- 셀이 병합되어 크기가 다른셀에 순번을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셀이 병합된 경우에 셀크기가 달라 순번입력시 자동채우기 핸들을 적용하면 에러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쉽게 순번매기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함수로는 MAX함수와 동일데이터 입력 하는 CTRL+ENTER 그리고 선택하여 붙여넣기(ALT+CTRL+V)를 활용합니다.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위 그림에서 보시면 (A)부분 같은 경우는 숫자이므로 1을 입력 후 자동채우기 핸들을 이용해 CTRL키를 누르고 드래그 하면 순서가 자동으로 입력이 됩니다. 그런데 (B)부분을 보시면 셀이 병합된 곳이 있어서 숫자1을 입력후 자동채우기 핸들을 해주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즉 셀크기가 달라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동일데이터 입력을 활용할 것이므로 (A)와 같이 순번이 들어갈 셀을 모두 선택합니다.그리고 바로 (B).. 2023. 11. 24.
파워포인트 TIP(팁)- 파워포인트의 슬라이드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파워포인트의 슬라이드 크기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보통 특별한 경우 아니면 파워포인트 기본슬라이드는 16:9의 와이드로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원하는 형태의 비율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작업중인 슬라이드를 살펴보면 상단메뉴의 디자인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리본메뉴에서 제일 우측부분에 슬라이드크기(B)가 있는데 클릭합니다. 그러면 위 그림처럼 기본값이 와이드스크린(16:9)로 되어있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만약에 슬라이드 화면크기를 변경하기 위해 표준(4:3)을 클릭해 보면 창(B)이 하나 뜨는데 여기에 보면 두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최대화와 맞춤확인이 있는데 차이점은 최대화는 현대 슬라이드 화면에 작업중인 개체들의 크기는 그대로 두고 슬라이드 크기만 변형.. 2023. 11. 23.
파워포인트 TIP(팁)- 효율적인 작업을 위한 파워포인트 단축키종류및 활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신속하고 효율적인 파워포인트 작업을 위한 단축키 종류및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런 단축키는 보통 엑셀이나 기타 다른 프로그램에도 동일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충분히 숙지하고 연습하시면 빠른 작업이 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먼저 선택에 대한 단축키 입니다. 개체 선택시 SHIFT키를 누른채 (A),(B),(C)를 클릭 클릭하면 선택을 추가할수 있습니다. 또한 선택된 개체를 제거시에도 SHIFT키를 누른채 제외 하고자 하는 개체를 선택하면 제외됩니다. 슬라이드내의 모든 개체를 선택시에는 CTRL+A를 누르시면 됩니다. 가장 기본적인 단축키죠. 복사,붙여넣기 입니다. CTRL+C,CTRL+V 이는 슬라이드간에도 가능하며, 복사 이므로 원본개체는 그대로 두고 사본이 .. 2023. 11. 21.
엑셀 TIP(팁)- 엑셀의 피벗테이블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엑셀의 피벗테이블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피벗테이블(Pivot Table)은 Pivot는 축이란 의미 입니다. 따라서 피벗테이블은 선택한 축으로 요약한 표를 의미 합니다. 또는 광범위한 데이터를 다양한 형태로 요약하여 보여주는 대화형 테이블을 의미합니다.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위 그림에서 보시면 왼쪽에 부서별 근무년수현황표가 있습니다. 이표를 우측의 피벗테이블(A)과 피벗차트(B)를 생성해 보겠습니다. (A)부분을 선택하고 상단메뉴의 삽입(B) 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리본메뉴의 피벗테이블(C)을 클릭 하고 뜨는 메뉴에서 테이블범위에서(D)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또 뜨는 창에서 (E)부분에 보면 두군데 체크하는 곳이 있는데 첫번째 새워크시트를 체크하고 확인 하시면 현재 시트 좌측에 새로운 피벗테.. 2023. 11. 16.
엑셀 TIP(팁)- 엑셀의 가상분석의 시나리오관리자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엑셀에서 가상분석의 시나리오관리자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다양한 상황과 변수에 따라서 여러가지 결과값의 변화를 가상의 상황을 통해 예측하여 분석할수 있는 기능을 말하는데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사회기부율에 따라 순수익의 변화를 예측해보는 시나리오를 알아 보겠습니다. I12셀과 I11셀을 선택해 각각 이름상자에 사회기부율과 순수익합계라고 입력합니다. 사회기부율 변화에 따른 순수익합계의 변화를 알아볼 예정이므로 I12셀(A)를 선택 후 상단메뉴의 데이터(B)를 클릭 하고 리본메뉴의 가상분석(C)를 클릭하고 나오는 메뉴에서 시나리오관리자(D)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뜨는 창에서 추가(A)를 클릭하고 또 뜨는 창에서 이름을 사회기부율확대(B) 라고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그리고 확대비율값.. 2023. 11. 15.
엑셀 TIP(팁)- 엑셀에서 반복적인 작업이나명령등을 기록하여 자동화 하는 메크로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엑셀에서 반복적인 작업이나 명령등을 기록하여 자동화하는 과정을 메크로라 하는데 이 메크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메크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상단메뉴에 개발도구 메뉴가 활성되어 있어야 합니다. 만약 메뉴가 없는 경우는 상단메뉴의 파일을 클릭합니다. 제일 하단의 옵션(A)를 선택합니다.그러면 엑셀의 옵션창이 뜨는데 중간쯤 리본사용자지정(B)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우측에서 반드시 개발도구 항목에 체크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체크를 하시면 엑셀의 상단메뉴에 개발도구 메뉴가 나타납니다.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위 그림에서 메크로 생성을 위한 조건은 첫번째는 B11:E11까지 노란색을 지정하고 메크로 이름은 서식으로 하며 버튼은 양식컨트롤단추를 생성조건 이고 ​ 두번째는 연도별 자원봉사자의 합계를 계산하는 메.. 2023. 11. 1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