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나눔공부방- 우리같이공부해요405

오토캐드 TIP(팁)-오토캐드 외부참조(XREF)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오토캐드 도면작성시 외부파일을 참조하는 외부참조(XREF)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외부의 도면을 현재 도면에 참조하여 편리하게 도면를 작도 할수 있는 기능입니다. 말그대로 외부에서 파일들을 불러와서 참조 할수 있으며 불러온 원본 파일을 수정할 경우 링크 되어 있는 다른 도면들도 수정이 되며 또한 참조한 도면을 수정해서 저장하면 참조하여 작업중인 현재 도면도 수정할 수 있는 중요한 기능입니다. 명령어는 XREF이며 단축키는 XR입니다. 레퍼런스 또는 외부참조 라고 합니다. 일단 XREF개념과 사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여기서는 외부참조로 사용될 chair,dwg 파일 즉 의자모양을 만든 파일을 준비 합니다. 캐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작업해야할 파일 DESK을 OPEN합니다. 위의 그림처럼 책.. 2023. 2. 13.
오토캐드 TIP(팁)-오토캐드의 기능키(FUNCTION KEY)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지난포스팅 오토캐드2D작업용 단축키에 대해(2022년10월22일자)에 이어 오토캐드 기능키(FUNCTION KEY)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 그림은 간략하게 정리한 것 입니다. 한번 살펴 보겠습니다. F1은 도움말 기능입니다. F2는 명령어창 히스토리 입니다. 위 그림처럼 작업도중 F2키를 누르면 텍스트 창이 뜨먼서 작업했던 명령어 히스토리를 보여 줍니다. ​ F3 :아주 중요하죠.오스냅(OSNAP)을 활성/비활성 하는 기능키 입니다. 명령어 입력창에 OSNAP 또는 단축키OS 를 입력후 엔터치면 뜨는 창에서 개체스냅 탭 에서 자주 사용 하는 오스냅을 체크해 놓으면 F3을 누를 때마다 활성/비활성 (초록색박스(A)) 됩니다. 오스냅 체크는 보통 끝점,중심점, 교차점 , 2-3개정도 체크를 권장.. 2023. 2. 11.
오토캐드 TIP(팁)-오토캐드 CAD실무능력평가(CAT2급)작업순서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CAD실무능력평가 즉 오토캐드2급 자격시험 (CAT2급) 작업 순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에서 주관하며 정투상법에 의해 2D작업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시험시간은 90분입니다. 작업순서는 먼저 1. 시험장에서 우측상단의 템플릿파일받기(A) 부분을 클릭해 DWG파일(템플릿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바탕화면에 다운받은 파일 이름을 수험번호.DWG로 바꿔 줍니다. 2. 캐드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바탕화면의 수험번호.DWG파일을 불러옵니다. 이 파일에 작도해야 합니다. 그냥 캐드를 실행하고 새 화면 꺼내서 작업하시면 안됩니다. 참고로 파일을 열면 흰색 안내블록 이 있는데 삭제하고 템플릿 파일안에 TITLE 블록도 내포되어 있어 배치작업때 삽입하여 사용합니다. 3. 시험전 확인할 캐드 옵션(OP.. 2023. 2. 10.
오토캐드 TIP(팁)-오토캐드 WBLOCK 사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이전에 포스팅했던 오토캐드 BLOCK(블록)사용법에 이어 WBLOCK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토캐드에서는 블럭이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BLOCK이 있고 WBLOCK이 있는데 BLOCK는 지정후 현재 도면 에서만 사용가능하고 WBLOCK는하나의 파일처럼 저장이되어 언제든지 재사용 가능 합니다. 저장매체 즉 가장 보편적인 USB에 도면 작도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시에 언제든지 사용가능 합니다.지난 BLOCK포스팅에 이어 오늘은 WBLOCK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BLOCK(블록)과 마찬가지로 캐드에서 블럭으로 사용될 개체를 만듭니다. 오토캐드 BLOCK(블록) 만들때와 같은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원형의자 모양을 만듭니다. 물론 블록으로 만들 개체는 .. 2023. 2. 9.
오토캐드 TIP(팁)- 오토캐드 블럭(block)사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이전에 포스팅했던 인벤터 블록사용법에 이어 오토캐드에서의 블록사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토캐드에서는 블럭이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BLOCK가 있고 WBLOCK이 있는데 BLOCK는 지정후 현재 도면 에서만 사용가능하고 WBLOCK는하나의 파일처럼 저장이되어 언제든지 사용 가능 합니다. 저장매체 즉 가장 보편적인 USB 에 도면작도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시에 언제든지 사용가능 합니다.일단 이번 포스티에서는 BLOCK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WBLOCK는 조만간 포스팅 하겠습니다. 먼저 캐드에서 블럭으로 사용될 개체를 만듭니다. 인벤터 블록 만들때와 비슷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위의 그림처럼 원형의자(F) 모양을 만듭니다. 물론 블록으로 만들 개체는 실제크기로 만듭니다. 명.. 2023. 2. 8.
인벤터 TIP(팁)- 인벤터에서 자주사용하는 개체를 블록으로 만들어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오토캐드의 블록처럼 인벤터 에서도 블록이 존재합니다. 자주사용되는 개체를 블록으로 지정하여 필요시 마다 가져다 사용하기 때문에 번거롭게 여러번 작도할 필요가 없어 용이합니다. 사용하는 방법이나 편집자체도 오토캐드와 거의 흡사합니다.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메뉴에서 스케치클릭 후 리본메뉴의 블록작성(A)를 클릭하면 창(B)이 뜹니다. 여기서 형상선택부분 화살표(C)를 클릭 하고 만들어진 개체(D)를 모두 선택합니다. 그리고 삽입점의 화살표(E)를 클릭하고 선택한 개체의 중심점(F)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블록이름을 지정합니다. 여기서는 원형의자 라고 지정했습니다. 그리고 적용하고 확인하면 좌측 검색기에 보면 블록(B)이 만들어진 것을 볼수 있습니다. 블록(B)를 클릭해 보면 서브메뉴에 원형의자 가 있는.. 2023. 2. 7.
인벤터 TIP(팁)-인벤터 치수기입시 바로 수치기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인벤터에서 스케치작업시 도면을 그리고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치수를 기입해야 합니다. 그런데 인벤터 프로그램 설치후 초기값 에서는 도면작도 후 치수기입하면 바로 작도한 치수 그대로 기입이 됩니다. 그러면 다시 크기를 맞추기 위해 치수를 클릭해서 수정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작도후 바로 치수기입하면서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위 그림처럼 리본메뉴의 치수(A) 클릭후 그려진 개체의 선(B)를 클릭하고 위치를 잡고 클릭하면 바로 치수가 기입 (C)됩니다. 물론 우측의 (D)부분도 마찬가지 입니다. 만약 크기를 변경하려면 치수부분 (C)를 클릭하면 뜨는 창에서 수치를 변경 해야 합니다.(E)부분도 마찬가지입니다. 마찬가지로 불편하죠. 그래서 메뉴의 도구(A)클릭후 나타나는 .. 2023. 2. 6.
인벤터 TIP(팁)-인벤터 스케치작업중 원점이 사라졌을 경우 대처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인벤터 기초,스케치 작업중 원점이 사라졌을경우 원점구속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럴경우 원점을 나타나게 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해 봅니다. 보통 일반적으로 기본값은 메뉴의 도구(A)를 클릭하고 리본메뉴 의 응용프로그램옵션(B)를 클릭하면 뜨는 창에서 스케치탭(C)를 클릭 합니다. 그러면 스케치작성시 부품 원점 자동투영(D) 이 부분에 체크가 되어 있으므로 스케치 모드로 들어가면 자동으로 원점(E)이 나타나 있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러면 위의 그림처럼 원점(A)로 부터 치수구속 을 할수 있습니다. 즉 완전구속을 할수 있죠. 그런데 오브젝트를 삭제하기 위해 위 그림처럼 박스로 드래그해서 (A)에서(B)까지 지정 후 DEL키로 삭제해 버리면 원점(C)까지 삭제해버리는 경우가 많죠... 2023. 2. 5.
인벤터 TIP(팁)-인벤터 스케치작업시 작업평면 선택시 바로 평면부로 전환되게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인벤터 스케치작업시 도면작도할 작업평면 선택시 바로 평면부로 전환되게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보통 인벤터 프로그램 설치후 초기값은 해당 작업평면을 선택하게 되면 투시형태 그대로 존재하게 됩니다. 작도하기 많이 불편하죠. 메뉴에서 3D모형(A)클릭후2D스케치작성(B) 클릭후 물체의 정면(C)를 선택하면(클릭하면) 위 그림처럼 Sketch모드로 변환되어 2D 작업을 할수 있는 공간으로 오지만 화면을 보시면 입체는 투상형태로 표현되고 있죠. 물론 이상태로도 작업은 가능하지만 많이 불편하죠. 그래서 반드시 해야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인벤터 버전마다 약간씩 차이는 있으나 보통 메뉴 도구(A)클릭하고 응용프로그램옵션(B)을 클릭하면 뜨는 창 에서 스케치탭(C)을 선택 하면 나오는 부분에서 스케치작성시.. 2023. 2. 4.
인벤터 TIP(팁)- 인벤터 스케치평면 잡을때 모서리 자동투영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인벤터 2D스케치 작업시 특정면에서 작업하기 위해 해당 평면을 잡을시 모서리 자동투영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물론 개인차는 있겠지만 해당평면을 2D스케치로 잡을경우 자동투영되면 불필요한 모서리 선들이 많이 생성이 되어 불편합니다. 위의 그림처럼 메뉴의 3D모형(A) 클릭 후 2D스케치 작성(B)를 클릭 하면 나오는 메뉴에서 2D스케치작성(C) 클릭 후 물체에서 작업할 공간 즉 해당면(D)에 커서를 가져가면 해당면의 테두리가 표시 됩니다. 그러면 해당면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해당면에 위치한 모서리가 자동으로 투영(위 그림에서 노란색 테두리)됩니다. 좌측의 탐색기에 보면 SKETCH6도 생성된 것이 보이시죠. 어자피 해당면에서 작도할려면 투영을 해야 겠지만 불필요한 모서리까지 투영 되므로 .. 2023. 2. 3.
인벤터 TIP(팁)- 인벤터 작업시 마우스휠의 도면확대,축소 방향 바꾸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인벤터작업시 화면을 확대,축소하는 방법이 몇가지가 있는데. 이 방식들의 확대, 축소하는 방향을 바꾸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면을 확대,축소하는 대표적인 예로 단축키 F3을 이용하는것과 그냥 마우스 휠을이용 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위의 그림은 확대,축소시 F3키를 누르고 화면의 빈공간을 클릭 후,클릭한 채로 위, 아래로 드래그 하는 방식입니다. 보통은 인벤터에서는 F3키를 누르고 화면 빈공간 클릭 한채로 위로 드래그하면 화면이 축소가 됩니다. 오토캐드하고 정 반대죠. 그래서 오토캐드를 오래 하신분들은 많이 어색해 하실겁니다. F3키 사용없이 그냥 마우스 휠을 이용할때도 화면에 커서를 가져가서 마우스 휠을 앞으로 밀어버리면 축소가 되고 반대로 당기면 확대가 됩니다. 이또한 오토캐드하고 반대입.. 2023. 2. 2.
인벤터 TIP(팁)-인벤터의 박스중앙에 텍스트 중앙정렬및 텍스트 편집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인벤터에서 어떤 틀이나 박스 기타 표 안에 글자를 중앙정렬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토캐드 에서는 텍스트입력시 정렬 하는 방법이 있어서 비교적 쉬운편이나 인벤터에서는 그러한 기능이 없어서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쉽지가 않죠.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인벤터 실행후 스케치모드에서 리본메뉴의 사각형명령(F)을 클릭하고 임의로 작업화면에서 가로80mm,세로20mm 직사각형(A)를 작도 합니다. 그리고 리본메뉴에서 텍스트입력 명령(B)를 클릭후 화면의 빈공간을 클릭 하던지 아니면 화면의 빈공간(C)점과 (D)점을 클릭하면 텍스트입력창(E)이 뜹니다. 여기에 원하시는 글자를 입력 하시면 됩니다. 위 그림처럼 (K)부분에 글자를 입력하고 여기서는 MASANCAD DESIGN 을 입력 했습니다. 그리고 .. 2023. 2. 1.
컴퓨터 활용 TIP(팁)- 화면캡처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화면캡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먼저 가장 기본적인것은 키보드의 PRINTSCREEN 을 누르는 것입니다. 위의 그림처럼 노트북 키보드나 일반키보드에 보시면 키보드마다 약간 다를수 있지만 보통 Prt sc..또는 Print Screen 또는 Print Screen SysRQ 라고 되어 있는 버튼이 있습니다. 캡처하고싶은 화면을 띄워놓고 이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창 또는 화면 전체를 캡처해서 클립보드에 임시 저장할 수 있습니다. 그런다음 이미지 편집프로그램인 포토샵이나 기타 프로그램 아니면 윈도우의 그림판을 실행후 붙여넣기 (CTRL+V)하시면 캡처한 화면이 나타나므로 편집해서 원하시는 부분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 두번째는 좀더 세밀하게 캡처할수 있는 방법입니다. 캡처하고싶은 화면을 띄워놓고 .. 2023. 1. 30.
일러스트 TIP(팁)- 일러스트 패스파인더를 활용한 삼색태극무늬 만들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이전에 포스팅한 패스파인더를 (2023년01월27일) 활용한 두번째 삼색태극무늬 만들기에 대해 알아 봅니다. 이전에 포스팅(2023년1월28일)한 일반태극무늬를 변형한 세가지 색상의 태극무늬 형상 입니다. 일반 태극무늬와 마찬가지로 패스파인더와 여러가지 기능들이 복합적으로 활용됩니다. 도구상자의 원(A)를 클릭후 작업용지 빈공간에 임의의 곳에 클릭하면 정확하게 원을 작도할수있는 대화창(B)이 뜹니다. 여기에 수치를 임의로 너비와 높이를50mm 를 입력후 확인(C)하면 지름이50mm인 원이 생성됩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지름이 25mm인 원 2개를 더 생성합니다. 큰원과 작은원 2개(A)(B)를 선택후 정렬의 세로가운데정렬(C)을 클릭하고 바로 정렬의 가로왼쪽정렬(D)을 클릭해서 (E)와같이 나타.. 2023. 1. 29.
일러스트 TIP(팁)- 일러스트의 패스파인더기능을활용한 태극무늬 만들기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이전에 포스팅한 패스파인더를 (2023년01월27일) 활용한 태극무늬 만들기에 대해 알아 봅니다. 간단해 보이지만 패스파인더와 여러가지 기능들이 복합적으로 활용됩니다. 가장 기본적인 태극마크 입니다. 도구상자의 원(A)를 클릭후 작업용지 빈공간에 임의의 곳에 클릭하면 정확하게 원을 작도할수있는 대화창(B)이 뜹니다. 여기에 수치를 임의로 너비와 높이를50mm 를 입력후 확인(C)하면 지름이50mm인 원이 생성됩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지름이 25mm인 원 2개를 더 생성합니다. 큰원과 작은원 2개(A)(B)를 선택후 정렬의 세로가운데정렬(C)을 클릭하고 바로 정렬의 가로왼쪽정렬(D)을 클릭해서 (E)와같이 나타나게 합니다. 정렬된2개의 원을 선택된 상태(A)로 메뉴의 오브젝트(B)의 그룹(C)을.. 2023. 1. 28.
일러스트 TIP(팁)-일러스트의 핵심, 패스파인더(PathFinder)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일러스트의 핵심기능이면서 아주 중요한 패스파인더(PathFinde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다양한 기능과 효율적인 활용으로 디자인 작업시 편리하게 해주는 패스파인더~ 하나하나 살펴보면서 이해하시면 작업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반드시 2개 이상의 오브젝트들이 있어야 합니다. 메뉴의 윈도우(A)에 패스파인더(B)를 클릭해 창(C)을 활성시킵니다. 위 그림은 파란색 사각형과 초록색원을 모두 선택(A)후 창의 패스파인더(B)클릭 후 합치기(C)를 클릭하면 우측의 그림(D)과 같은 합쳐져 하나가 된 형상이 나타납니다. 색깔은 두 물체중 위에 있는 물체의 색을 따라 갑니다. 위 그림은 파란색 사각형과 초록색원을 모두 선택(A)후 창의 패스파인더의 앞면오브젝트제외(B)를 클릭하면 우측의 (C)와 같은 결과를.. 2023. 1. 27.
일러스트 TIP(팁)-정확한 작업을 위한 오브젝트정렬,분포,등분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일러스트레이터에서 정확한 작업을 위해 오브젝트를 정렬,분포,등분하는 방법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 그림처럼 일러스트 메뉴의 윈도우(A)를 클릭 하면 뜨는 창에서 아래부분의 정렬(B) 을 클릭 하면 대화상자(c) 가 뜹니다. 여기서 오브젝트2개이상 선택(A)후 대화상자의 우측하단 정렬대상의 화살표(B)를 클릭하면 나타나는 항목에서 선택항목에 정렬(C)를 체크하고 왼쪽정렬 (D)를 클릭하면 (E)처럼 제일 왼쪽에 있는 빨간색 사각형을 기준으로 각 오브젝트 들이 왼쪽기준 으로 정렬이 됩니다 위 그림은 오브젝트 선택 후 정렬대상에서 선택항목에 정렬 선택후 가로가운데 한 결과물, 가로 오른쪽한 결과물과 우측하단의 그림은 가로가운데, 세로가운데 두번 클릭해서 정렬한 결과물 입니다. 위 그림은 오브젝트 선.. 2023. 1. 26.
엑셀 TIP(팁)-엑셀의 수학함수인 ABS,MOD,POWER,RAND함수와 통계함수인MEDIAN,MODE함수에 대해 알아봅니다. 명절 연휴 잘보내셨나요? 오늘은 엑셀의 수학함수 인 ABS함수, MOD함수,POWER함수,RAND함수와 통계함수인 MEDIAN,MODE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ABS함수에 대해 알아봅겠습니다. ABS함수는 숫자의 절대값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ABS(-25)또는 데이터위치를 셀주소로 하면 =ABS(B4)하면 결과는 25가 나타납니다. 절대값이므로 항상 양수값 입니다. 다음은 MOD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OD함수는 수1을 수2로 나눈 나머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MOD(20,7) 또는 셀주소로 =MOD(B5,D5)하면 나머지값이 6이므로 함수 결과는 6이 나타납니다. 다음은 POWER함수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POWER함수는 수1을 수2만큼 거듭제곱 한 값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PO.. 2023. 1. 25.
엑셀 TIP(팁)-엑셀의 텍스트함수인 LEN,TRIM,FIND,FINDB,SEARCH,SEARCHB함수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엑셀의 텍스트함수인 LEN,TRIM, FIND,FINDB,SEARCH,SEARCHB 함수 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LEN함수에 대해 살펴보면 LEN함수는 문자열의 길이를 숫자로 바꾸는 함수입니다. 위 그림처럼 B3(A)의 문자를 LEN함수로 변환하면 C3셀을 클릭후 =LEN("마산합포구 산호동") 이렇게 입력해도 되고 문자대신 문자가 위치한 셀주소를 넣어 =LEN(B3) 이렇게 입력해도 됩니다. 문자사이 공백도 하나로 인식해 함수 결과식은 9로 나왔네요. 아래의 마산CAD디자인학원은 LEN함수로 변환하니 함수결과는 영문 한글 모두 한글자로 해서 10이 나왔네요. 이렇게 LEN함수는 문자열의 길이를 숫자로 반환합니다. ​ 다음은 TRIM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TRIM함수는 단어사이의 한 .. 2023. 1. 20.
엑셀 TIP(팁)-엑셀의REPLACE,SUBSTITUTE,CONCATENATE함수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늘은 엑셀의REPLACE,SUBSTITUTE, CONCATENATE함수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위 그림과 같은 경우 먼저 REPLACE함수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EPLACE함수는 텍스트의 일부를 다른텍스트로 바꾸는 함수 입니다. 기본식은 =REPLACE(바꿀셀위치,몇번째부터, 몇글자를,"대체할글자")입니다. 따라서 D4셀(A)을 클릭후 =REPLACE(B4,3,8,"그룹") 입력후 엔터치면 (H)처럼 마산그룹이 입력됩니다. 즉 B4셀의 데이터,마산CAD디자인학원 에서 3번째글자 C부터 8글자 CAD디자인학원글자를 그룹으로 대체한다는 의미 입니다. ​ 다음은 SUBSTITUTE 함수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SUBSTITUTE함수는 텍스트의 일부를 바꾸거나 삭제할 경우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함수식은.. 2023. 1. 19.
728x90
반응형